뒤로

포항

  • 전체
  • IT/Tech/Car
  • Science
  • 과학계 소식
  • Wild life
  • 문화
  • 천문/우주
  • 라이프
  • 지구/환경
  • 연재
  • 과학기술매거진
  • 경북은 지진대응 AI, 인천은 선박안전 시스템…지역 맞춤형 연구 추진

    지역 사회문제 과학기술로 해결 정부-지자체 3년간 280억 원 투입 정부가 올해부터 지역이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을 스스로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지역 맞춤형 연구개발(R&D)사업을 추진한다. 첫 사업 추진 대상으로 경북과 전북, 충남, 인천, 울산 등 5개 지역이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

    • #지역
    • #지방자치단체
    • #과기정통부
    • #포항지진
    • #경북지진
    • #AI
    • #지진대응
    • #인공지능
    • #선박안전
    • #연구비매칭
    • #지방분권
  • 포스텍-연세대 학생, 공동 학위 받는다…연구·교육 공유 플랫폼 구축키로

    포스텍과 연세대가 연구·교육 인력과 인프라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두 학교에서 공동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전면적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인 포스텍과 인문사회, 이공·의약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대학 연세대가 각각의 강점을 살려 교육은 물론 연구 역량까지 세...

    • #포스텍
    • #포항공대
    • #연세대
    • #공동연구
    • #교육과정
    • #대학교육
    • #공유
    • #개방
    • #오픈교육
  • “탈(脫)원전 해도 원전, 사용후핵연료 방재기술 연구는 계속돼야”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면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뿐만 아니라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한 곳에서도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원전을 없애자는 논의와는 별개로 원전과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에 대한 방재(防災) 기술 확보가 중요합니다.” 방재 전문가인 다카라 카오루 일본자연재해안전학회(JS...

    • #탈원전
    • #사용후핵연료
    • #원자력발전소
    • #포항지진
    • #경주지진
    • #지진
    • #방재기술
    • #한국방재학회
  • [사이언스 지식IN]고향 오가는 길, 또 지진이 난다면?

    민족대명절 설을 보내기 위해 포항과 경주 등 한반도 동남권 지역을 방문했던 귀성객들의 마음을 무겁게 한 것이 있다면, 단연 지진일 겁니다. 약 2년 전인 2016년 ‘912 경주지진’(규모 5.8) 이후, 포항에서도 2번의 큰 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인데요. 특히 포항에서는 2017 수능을 앞두고 발생한 ‘1115지진’(규모 5....

    • #포항
    • #경주
    • #강진
    • #규모
    • #5.8
    • #5.4
    • #4.6
    • #고속도로
    • #귀경길
    • #지진
    • #터널
    • #비상
    • #라디오
    • #대피
    • #요령
    • #민족대명절
    • #설
  • 포항 지진 경보 7분이나 걸린 까닭

    지난 11일 오전 5시 3분,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5㎞ 지역에서 또 다시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4.6 지진으로 진앙 깊이는 14㎞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이 지난해 11월 15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이라고 발표했다. 본진 이후 석달이 지난 후에 가장 큰 여진이 발생한 이례적 경우다. 다행히 큰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

    • #지진
    • #포항지진
    • #지진경보
    • #일본지진
    • #지진계
    • #지진알림
    • #지진예보
    • #지진파
    • #기상청
    • #긴급재난문자
  • 경주, 포항 강진 이어지는데 … 단층조사는 제자리

    2016년 9월 규모 5.8의 경주 지진, 지난해 11월에는 규모 5.4의 포항 지진이 한반도 동남권 지역을 덮쳤다. 두 번의 지진 이후 불과 3개월 만인 지난 11일 새벽 다시 또 포항에서 규모 4.6의 강진이 발생했다. 경주 지진을 계기로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단층 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당시 활성단층 조사와 연구 추진...

    • #경주
    • #포항
    • #지진
    • #규모
    • #5.8
    • #5.4
    • #4.6
    • #단층
    • #활성단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기부
    • #원안위
    • #행수부
    • #기상청
    • #사업단
    • #지질
    • #지구
    • #CT
    • #MRI
    • #탄성파
    • #중력
    • #자력
    • #응력
  • 3개월 만에 발생한 지진이 포항 지진 여진인 이유는?

    세 줄 요약 ① 여진은 본진이 발생한 뒤 발생하는 지진으로, 이번 지진은 지난해 11월 15일 일어난 규모 5.4 포항 지진의 여진. ② 앞으로도 크고 작은 여진은 계속 될 것. 경주 지진의 경우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여진이 600회 넘게 발생했음. ③ 정밀 조사를 한 뒤 여진이 본진이 되거나, 본진이 전진이 되고 여진이 ...

    • #지진
    • #포항지진
    • #여진
    • #규모
    • #진도
  • 새벽 포항 규모 4.6강진발생…주민피해 20여건, 원전은 이상 없어

    2017년 수능을 일주일 앞두고 지진이 발생했던 포항 지역에서 또다시 규모 4.6의 강진이 발생했다.3개월여 만에 일어난 강도 높은 여진에 주민들이 불안을 호소하는 가운데, 정부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즉시 가동해 인근 건물과 발전소 등 시설에 대한 긴급 전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경북 포항시는 11일 오전 5시3분께...

    • #포항
    • #여진
    • #강진
    • #북구
    • #흥해
    • #규모
  •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

    중력의 미세한 변화로 대지진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와 미국 공동연구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발생한 지진파가 도착하기 전에 중력 변화가 지진계에 감지됐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속도가 가장 빠른 지진파인 P파로 ...

    • #중력
    • #대지진
    • #중력장
    • #지진파
    • #동일본대지진
    • #대만지진
    • #포항지진
  • 성탄절날 여진...포항서 규모 3.5 지진 잇따라

    지난 11월 일어난 포항 지진의 여진이 잇달아 다시 발생했다. 기상청은 25일 오후 4시19분경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 지역에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진앙은 북위 36.11도, 동경 129.36도이며, 발생 깊이는 10㎞다. 기상청은 당초 지진 규모를 3.7로 발표했다 3.5로 수정했다. 이어 오후 4시32분경 경북...

    • #포항
    • #지진
    • #여진
    • #진앙
    • #진도
    • #규모
  • 지진알림문자, 실제 흔들림 나타내는 '진도'표기 추진

    지진 알림 재난 문자에 지진 규모뿐만 아니라 진도까지 포함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4일 기상청 등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하반기부터 지진으로 인해 각 지역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흔들림 정도를 예측해 이를 지진 알림 재난 문자에 포함키로 했다. 지금까지의 지진 알림 재난 문자는 지진 발생 위...

    • #지진
    • #진도
    • #규모
    • #문자
    • #경보
    • #포항
    • #재난문자
    • #대피방법
  • [싱크홀 전쟁] 도로가 털썩! 도심 싱크홀, 일본 편

    세계는 지금 싱크홀과 맞서 싸우는 중 (1) [일본] 도로가 털썩! 도심 싱크홀, 대처는? (2) [프랑스] 역사가 남긴 인공 싱크홀, 대비는? (3) [독일] 물에 녹아 가라앉는 자연 싱크홀, 대비는? (4) 도심 속 지뢰 싱크홀, 한국은 지금? 일본 후쿠오카 하카타역 앞. 도로에 균열이 조금씩 나더니 아스팔트가 순식간에 무너져...

    • #싱크홀
    • #지반함몰
    • #지반침하
    • #도심싱크홀
    • #일본
    • #지진
    • #포항
    • #터널
    • #구와노
    • #도쿄대
    • #공동
    • #GPR
    • #도로함몰
    • #공동위험도
    • #서울
더보기
180309_정기구독배너_수학동아
위로
지금
이기사
HOME로그인 해주세요.
메뉴닫기
닫기
  • 학문
  • 사이언스
  • science
  • 도덕과학
  • 도덕
  • 문화과학
  • 문화
닫기 열기
  • IT/Tech/Car
  • Science
  • 과학계 소식
  • Wild life
  • 문화
  • 천문/우주
  • 라이프
  • 지구/환경
  • 연재열기
    • 타래과학
    • 오염TALK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 짬짜면 과학 교실
    • DS인사이드
    •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 비주얼 사이언스
    • 강석기의 과학카페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 돈테크무비
    • 퀴즈
    • 생활의 시선
    • 저격! 인터넷 신조어
    • 2017 노벨상
    • 영.혼.남의 3분 영화
    • 사이언스 지식IN
    • 개밥남 백개사전
    • 수학퍼즐
    • 현장체험디렉터 추천 과학체험 100
    • 개소리 칼럼
    • 신경인류학 에세이
    • 팔라우에서 온 힐링 레터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 표지로 읽는 과학
  • 과학기술매거진열기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 KISTI의 과학향기
    • SEMA 함께 행복 同幸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Green Tech. HORIZON
    • 핵비확산뉴스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 창조경제타운
정기구독 모바일신청

동아사이언스 미디어 더보기

  • 디라이브러리
  • 과학동아몰
  • 어린이과학동아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SNS 핫뉴스
메뉴닫기
  • 3분 42초

    [테마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눈여겨볼 캐릭터 BEST 3

  • 6분 24초

    [짬짜면 과학 교실] 세 가지로 변신하는 마술사

  • 6분 27초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관심병'의 심리학

  • 13분 29초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세상의 시작을 보는 두 가지 입장

  • 33분 43초

    [지뇽뇽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

동아사이언스 SNS로
최신 소식을 받아 보세요!

  • 과학동아
    과학동아페이스북 과학동아카카오스토리 과학동아트위터
  • 과학동아천문대
    과학동아천문대페이스북
  • 어과동TV
    어과동TV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