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투과전자현미경

  • 전체
  • IT/Tech/Car
  • Science
  • 과학계 소식
  • Wild life
  • 문화
  • 천문/우주
  • 라이프
  • 지구/환경
  • 연재
  • 과학기술매거진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나노 세계’ 직접 관찰-제어 움직임 활발 최근 과학계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를 직접 보고 제어하려는 움직임이 한창이다. 나노 세계는 10억분의 1m만큼 작은 규모의 세계다. 머리카락 두께의 100분의 1 수준인 마이크로 세계보다 1000배 더 작다. 눈에 보이기는커녕 존재하는지도 알 수 없는 세계를 봐...

    • #나노
    • #원자
    • #분자
    • #관찰
    • #제어
    • #투과전자현미경
    • #그래핀
    • #방사광가속기
    • #x선
    • #레이저
  • 산화물 원자 구조 바뀌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는 기술 개발

    산화물의 환원 과정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관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고체 산화물을 쓰는 연료전지의 성능 개선에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환경소재분석본부 전자현미경연구부 장재혁 박사는 원자 세계를 관찰할 수 있는 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을 활용, 산화물 안에서 산소의 이동에 따...

    • #수차보정투과전자현미경
    • #산화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연료전지
    • #환원
  •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외로운 핑크돌고래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오늘은 기분이 핑크색이었어” 외로운 핑크돌고래(김미정, 일반부 바이오대상) 쥐의 망막 조직을 화학물질로 처리해 고정한 뒤 얇게 저며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배율 6500배. 세포 내 소기관 중 하나인 액포가 공교롭게도 돌고래의 머리와 꼬리를 닮았다. 액포 안...

    •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 #바이오
    • #바이오현미경
    • #현미경
    • #망막
    • #투과전자현미경
    • #액포
    • #돌고래
    • #파레이돌리아
    • #사물
    • #얼굴
  • 머리카락 10만분의 1 굵기 ‘나노선’도 한 눈에 본다

    김영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첨단측정장비센터 책임연구원팀은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선(nano wire)’의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고효율 반도체 등 차세대 전자기기 연구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노선은 지름이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가느다란 선...

    • #나노선
    • #표준연
    • #나노레터스
    • #투과전자현미경
  • 탄소 원자 경계면까지 확인, 새로운 주사투과전자현미경(STEM) 개발

    탄소 원자 하나의 경계면까지 선명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고성능 현미경을 실현시킬 새로운 전자빔이 개발됐다. 앤드류 마이너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전자현미경연구실장 팀은 기존의 주사투과전자현미경(STEM)에 광학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고성능 전자빔 ‘MIDI-STEM’을 개발했다고 ‘네이처’ 자...

    • #탄소
    • #원자
    • #경계면
    • #탄소원자
    • #주사투과전자현미경
    • #STEM
    • #개발
    • #현미경
    • #전자빔
    • #미국
    • #광학기술
    • #MIDI-STEM
더보기
180309_정기구독배너_수학동아
위로
지금
이기사
HOME로그인 해주세요.
메뉴닫기
닫기
  • 학문
  • 사이언스
  • science
  • 도덕과학
  • 도덕
  • 문화과학
  • 문화
닫기 열기
  • IT/Tech/Car
  • Science
  • 과학계 소식
  • Wild life
  • 문화
  • 천문/우주
  • 라이프
  • 지구/환경
  • 연재열기
    • 타래과학
    • 오염TALK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 짬짜면 과학 교실
    • DS인사이드
    •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 비주얼 사이언스
    • 강석기의 과학카페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 돈테크무비
    • 퀴즈
    • 생활의 시선
    • 저격! 인터넷 신조어
    • 2017 노벨상
    • 영.혼.남의 3분 영화
    • 사이언스 지식IN
    • 개밥남 백개사전
    • 수학퍼즐
    • 현장체험디렉터 추천 과학체험 100
    • 개소리 칼럼
    • 신경인류학 에세이
    • 팔라우에서 온 힐링 레터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 표지로 읽는 과학
  • 과학기술매거진열기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 KISTI의 과학향기
    • SEMA 함께 행복 同幸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Green Tech. HORIZON
    • 핵비확산뉴스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 창조경제타운
정기구독 모바일신청

동아사이언스 미디어 더보기

  • 디라이브러리
  • 과학동아몰
  • 어린이과학동아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SNS 핫뉴스
메뉴닫기
  • 28분 51초

    하이힐 신은 여자의 고통

  • 1시간 18분 46초

    노벨상 수상자들의 편지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 1시간 19분 28초

    “DNA구조, ‘이중나선’만 있는 것 아니다”

  • 1시간 27분

    차세대 반도체의 비밀 ‘공중부양’ 기술 개발했다

  • 2시간 15분 56초

    유산균으로 미세먼지 악영향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SNS로
최신 소식을 받아 보세요!

  • 과학동아
    과학동아페이스북 과학동아카카오스토리 과학동아트위터
  • 과학동아천문대
    과학동아천문대페이스북
  • 어과동TV
    어과동TV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