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를 지나면서 여성이 천식에 걸릴 확률이 남자보다 2배 이상 높아진다. 사춘기 이전에는 남자가 여자보다 천식에 걸릴확률이 1.5배 높다가, 이후 폐경 때까지 여자의 발병률이 커지는 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기는 것일까?
미국 밴더빌트의대 댄 뉴컴 교수팀은 천식환자의 남녀 비율이 역전되는 시점이 사춘기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들은 천식으로 인한 감염증에 걸렸을 때, 남성호르몬중 하나인 테스토스테론이 폐 속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때문에 남자의 천식 발병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28일(현지시각)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밝혔다.
천식을 일으키는 외부 감염성 물질이나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숨 쉬기 힘들어지는데, 이때 선천성림프세포(ILC)-2 그룹의 면역세포들이 외부물질을 퇴치하는 신호전달 물질을 분비해 치유를 돕는다.
연구팀은 쥐와 사람에서 ILC-2세포 그룹의 양을 측정했다. 먼저 쥐의 폐에서 ILC-2세포 그룹은 일반 폐세포 대비 1000만 개 당 1개 비율로 드물게 존재하며, 암컷 쥐가 수컷 쥐보다 이를 항상 많이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어 천식 환자와 정상인의 혈액 구성 물질을 분석해 사람도 쥐와 비슷한 비율로 ILC-2세포가 나타나는 것을 알아냈으며, 이 세포 그룹은 정상인보다는 천식 환자, 남성 환자보다 여성 환자의 혈액 속에 많이 존재함을 밝혀냈다.
하지만 ILC-2세포 그룹의 숫자가 많다 해서 여자가 천식에 강한 것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사람과 쥐의 ILC-2세포 그룹에 난소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같은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각각 처리했다. 그 결과 사람과 쥐의 ILC-2세포 그룹 모두 여성호르몬을 처리한 그룹은 면역세포의 활성에 변화가 없었지만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한 그룹은 면역 작용을 돕는 신호 전달 물질이 증가했다. 테스토스테론을 처리했을 때, 면역작용을 위한 ILC-2세포들의 활성이 더 활발해진 것이다.
뉴컴 교수는 “남성이 ILC-2세포 그룹의 수는 적지만 남성호르몬을 많이 갖고 있어 (여성보다) 천식에 잘 걸리지 않는 것”이라며 “천식을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 중 성호르몬의 작용을 알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성호르몬의 영향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