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행복해지고 싶다는 이야기를 흔히 들을 수 있다. 물론 행복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강박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조금 얘기가 다르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꼭 행복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되려 행복에 독이 될 수 있다는 발견이 있었다. 간절함이 독이 될 때 성적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공부를 열심히 하...
칭찬을 받는 걸 어색하고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나 역시 칭찬을 받으면 기쁜 동시에 뭔가 부끄럽고 어색해서 “아이고 아니에요.”를 연발하거나 도망가고싶어지는 편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데, 칭찬에 마냥 기뻐하는 게 어려운 이유는 뭘까? 최근 ...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 자존감을 수호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 그러니까 자기 자신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는 대단하다. 일례로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는 것과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다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그래도 아직 나는 대단한 사람...
사랑해서 죽였다? “사랑해서 그랬다”는 변명을 흔히 들을 수 있다. ‘그랬다’에는 심한 집착과 구속,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거나 염산을 붓는 일, 심지어 살해하는 행위까지 포함되곤 한다. 사랑한 나머지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우발적’ 범행을 했다며 함께 끄덕여 주는 사람...
인간은 판단하는 동물이다. 새로운 무엇을 봤을 때 ‘이게 뭐지? 어떻게 쓰는 거지? 좋은 건가, 아니면 나쁜 건가?’ 등 다양한 질문을 떠올리듯 사람을 처음 봤을 때도 비슷한 질문들을 떠올린다. 특히 사람이 사람을 판단할 때 쓰는 기준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우리가 어떤 사람을 좋다 나...
피해자를 비난한다니, 언뜻 들으면 잘 이해되지 않는 말이다. 가해자가 버젓이 있는데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 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사건에 따라 피해자보다 가해자의 입장에 더 많이 공감하고 피해자를 비난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성폭력 사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다음의 문항들을 살펴보자. - ...
한 순간의 잘못, 몹쓸짓, 실수 등 흔히 성폭력을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한 순간의 실수일 뿐인데 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은 너무하다는 반응도 흔히 보인다. 하지만 정말 성폭력은 한 순간의 실수일까? 남성의 성욕은 본능이므로 성폭력은 어쩔 수 없다(?)는 변명 같지 않은 변명을 들을 때마다, 식욕이나 수면욕 같은...
성폭력을 피하려면 밤길을 조심하라는 등의 조언을 한다. 낯선 곳에서 수상한 낯선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라는 인식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과 다르다. 밤길보다 집, 학교, 직장이 더 위험하다. 성폭력의 약 60-80%가 낯선수상한 사람보다는 가족, 친척, 학교나 직장동료, 연인이나 배우자 등 일상 속의 ‘아...
자기통제력, 즉 바람직한 목표나 상태를 성취하기 위해 이에 방해가 되는 욕구를 자제하는 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예컨대 눈 앞에 맛있는 마시멜로우나 갓 구운 쿠키를 보여주고 ‘조금 기다리면 하나를 더 주겠다’고 했을 때 십분여를 더 기다렸다가 하나를 더 받는 아이와 그렇지 ...
가난한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가난한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흔히 가난한 사람들은 게으르고 노력하지 않아서 가난한 것이라고 가난에는 다른 이유들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다른 무엇보다 가난 자체가 가난한 사람을 옭아매는 족쇄라는 것이다. 일례로 돈에 대한 걱정을 하게 되면 누구든...
한창 몸이 안 좋을 때였다. 몸이 안 좋은 것 외에도 괜한 생각때문에 불행했다. 다른 사람들 다 건강한데 나만 이런 불행을 겪는다는 소외감과 억울함, 큰 잘못을 저지르면서 살았던 것 같지는 않은데 괜한 벌을 받는 것 같다는 억울함 등 알 수 없는 억울함과 분노, 피해의식 등이 나를 괴롭히곤 했다. 그러던 어느...
어머니가 가게를 열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장사가 잘 되지 않아서 힘들다고 했다. 그래서 같이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는데 가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생각보다 철저하지 않고 급하게 진행한 듯한 흔적들이 많이 보였다. 왜 이런저런 것들을 미리 대비하지 않았냐고 묻자 내가 연 가게가 잘 안 될리가 없다 확신...